전체 게시글 보기

Thoughts & Records

우아한테크코스 레벨1에서 배운 것

속으론 읽혀지길 바라면서 동시에 일기인 척 하면서 ㅋ 소리지르고 방방 뛰다가 부모님께 전화해서 자랑했던 우테코 합격의 그날로부터 4달이 지났다. TDD, Stream API, 페어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클린 코드 등등 수많은 것들이 쏜 살 같이 스쳐갔다. 2년간 자바와 스프링만 해왔는데 4달 동안 놓았던 스프링을 다시 하려니 스프링이 날 지나쳐 있는 듯 하다. 또다시 스쳐갈 물을 주어야 할 타이밍이다. 지난 4달 간의 성장은 나에게 사랑 같다. 많은 일이 있었고 매 순간이 소중하고 말하라면 오래 이야기할 수 있지만 굳이 말로 표현하고 싶지는 않다. 언제 또 날 지나친 듯 느껴질 지 모르겠지만 나를 바꿔놓았고 내 일부가 되었기에 나만 느끼는 감정이 아닐 것이기에 굳이 말로 표현하기는 부끄럽다. 인생의 묘..

우아한테크코스 4기

Spring 의존성 주입 방법 중 생성자 주입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매번 스팸으로 여겨왔던 Jet Brain의 메일.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갑자기 이번 4월호는 읽어보고 싶었는데요, 이번 4월 Java Annotated Monthly 를 열어보니 흥미로운 컨텐츠가 정말 많았어요. 이번 포스팅은 그중 다음 영상을 보고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추가적으로 영상 링크 하단의 포스팅도 참고했습니다. Spring Constructor Injection: Why is it the recommended approach to Dependency Injection? [Spring] 다양한 의존성 주입 방법과 생성자 주입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 (2/2) 1. 📘 용어 정리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먼저 정리가 필요한 용어들을 짚어봅니다 Spring Bean Bean is just..

우아한테크코스 4기

Level 1을 정리하는 레벨 인터뷰 후기

우아한테크코스에서는 각 레벨을 마칠 때마다 학습한 내용을 레벨 로그로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나의 변화와 성장을 내가 확인하고, 어디까지 아는지, 어느 부분을 잘 모르는지 메타인지를 기를 수 있는 시간입니다. 1. ✍🏻 레벨 로그 레벨 1 동안 총 12개의 프롤로그를 작성했습니다. 그 내용들을 토대로 제가 학습했던 내용을 요약해서 레벨 로그로 작성했습니다. 돌아보니 블로그에 포스팅했던 내용 중 일부도 빠져있고, 독서했던 내용도 빠져있는데, 다음 레벨 로그에는 조금 더 촘촘하게 레벨 로그를 작성해서 인터뷰 시에 더 풍성한 질문 답변이 되게 하고 싶습니다. EnumMap에 대해 학습했던 내용, for-loopr과 IntStream을 비교했던 내용을 다루지 않은 점이 특히 아쉽네요. 😅 ..

우아한테크코스 4기

다중 행 Insert 최적화 (Level 1 체스 미션 초기 체스판 구성)

Level 1 체스 미션 중, 반복 수행되는 DB 여러 행의 삽입을 최적화하기 위해 고민한 내용을 적어봤습니다. 1. Console 버전 체스 초기판 구성 private static final Map INITIAL_BOARD = new HashMap(); static { setupOthersPieces(RANK_EIGHT, Color.BLACK); setupPawns(RANK_SEVEN, Color.BLACK); setupPawns(RANK_TWO, Color.WHITE); setupOthersPieces(RANK_ONE, Color.WHITE); } 초기 콘솔 버전은 단순 Map 자료구조에 좌표값과 좌표에 해당하는 기물만 저장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따라서 static 블럭에서 모든 것이 해결 가능했죠. ..

우아한테크코스 4기

🤔 도메인(domain)은 무슨 뜻일까?!

정확히 알지 못하며 사용하고 있는 도메인이라는 표현에 대해 나름대로의 정의를 이해하고, 정리해보고 싶었습니다! domain의 어원과 사전적 정의 정확히 domain 이라는 단어는 16세기 말 최초에 기록되었으나 비슷한 의미의 다른 형태로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습니다 군주의 소유물, 영토의 의미로 비슷한 형태의 단어가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습니다. 16세기 말 최초로 domain이라는 단어의 기록이 발견되었구요. 메리엄 웹스터 사전의 주요 해석을 보자면, 현대의 domain은 지방 정부의 관할, 학문 영역, 활동 영역, 인터넷 주소 하위 구분 등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군주의 소유물, 영토를 의미하던 단어가, 현대에 들어서는 보다 넓은 문맥에서 영역을 구분하는 의미로 사용됨을 알 수 있었네요!..

리차드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4 Page)